♧충남 금산 칠백의총(七百義塚)기념관 탐방(2015.02.28 토)♧
충남 금산군 금성면 의총길 50에
자리하고 있는 칠백의총(사적 제105호) 경내에 자리하고 있는
기념관은 1976년에 건립된 건물로서 칠백의사의 전투모습 등 행적을 그린 7폭의 기록화와
칠백의사와 관련된 유물 167점을 보관 및
전시하고 있는 공간입니다.

▽ 기념관을 정면으로 촬영한 풍경입니다.

003

004

▽ 중 봉 전 집
조헌선생의 전기, 저술, 포전 등을수록한 것으로서 1740년 영조대왕께서
명을 내리시어 20권 10책으로 발간된 것임

▽항 의 신 편 및 목 각 판
항의신편은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의병을 일으키고 금산 연곤평 싸움에서 순절하신
조헌 선생의 행적과 업적을 수록한 것으로, 4권 1책이며 목판 108개도 함께 보관되어 있음.

▽ 중 봉 조 헌 영 정(해설 아래사진 참조)

008

▽ 국방강화 상소도
1591년 장차 국난이 올 것을 예견하여 국토바위의 방책을 강구토록 상소하는 장면이며,
당시 조정에서는 이를 받아들이지 않아 임진국난을 담하게 되었음.

▽ 근 왕 창 의 도
1592년 조헌선생과 그 제자들이 국왕을 보위하고 강토를 수복할
의병을 모으고자 궐기를 하는 장면임.

▽ 기념관 내부 전시실 풍경입니다.

012

013

▽ 토 적 맹 약 도
왜적을 토멸하라는 교서를 받고 1592년 7월 4일
하늘에 제사하고 왜적을 무찌르기 위하여 맹서하는 장면임.

▽ 심 원 록
조헌 선생은 임진왜란이 일어나기 전인 1584년에 보은현감에서 물러나
충청북도 옥천군 안읍의 밤티마을에 후율정사를 짓고 은거하며 학덕이 있는 선비들과 교류하였다.
심원록은 이때 선생을 방문하였던 선비들의 방문록임.

▽ 전 략 회 의 도
조헌 선생이 영규대사와 함께 휘하참모 이광륜, 임정식, 김절, 이려, 곽자방, 등과
싸움에 임하면서 전략을 협의하는 장면임.

▽ 정 기 록(正氣錄) [해설 아래사진 참조]

018

▽ 청 주 성 탈 환 도
조헌 선생이 이끄는 1,600여명의 의병이 영규대사 휘하 1,000여명의 승병과 함세하여
1592년 8월 1일 청주성을 탈환하는 장면임,

▽ 마 상 격 문(馬上檄文) [해설 다음사진 참조]

021

022

▽ 금 산 혈 전 출 진 도
청주성 탈환 후 700여명의 의병을 거느리고 금산의 적을
토멸하기 위하여 출진하는 장면임.

▽ 금 산 혈 전 순 절 도
조헌 선생과 영규대사가 이끄는 칠백의사가 1592년 8월 18일 금산 연곤평에서
최후의 일인까지 왜적과 싸우다가 장렬하게 순절하는 장면임.

▽ 선 조 대 왕 교 서(보물 제1007호)
1592년 선조가 의주로 피난하였을 때 의병장 조헌에게 봉상사첨정 벼슬을 내리고
왜병을 하루 속히 몰아내고 국권을 회복해 줄 것을 당부한 내용임.

▽ 사진을 클릭하면 크게보여 읽을 수 있습니다.

▽ 기념관 내부 풍경

028

▽ 금 산 혈 전 순 절 모형
조헌 선생과 영규대사가 이끄는 칠백의사가 1592년 8월 18일 금산 연곤평에서
최후의 일인까지 왜적과 싸우다가 장렬하게 순절하는 장면을 모형으로 재현해 놓은 것임

030

031

032

033

034

035

▽ 조 천 일 기(보물 제1007호
조헌 선생이 1574년 5월 중국 명나라에 사신을 따라 질정관으로 갔을 때 수수 쓰신 일기책.

▽ 창 살
임진왜란 당시 왜적과 싸울 때 사용한 창살임.

▽ 화 살 통
조헌 선생이 임진왜란 때 쓰셨던 화살통으로서 보물 제1007호로 지정됨.

039

040

▽ 교 지
이광륜 선생이 순절한 후 206녕이 경과된 1799년 정조께서 선생의 뛰어난 공덕을 기리어
이조판서겸 오위도총부도총관의 벼슬을 추증한 교지임.
 ♬92-16.향 수 / 이동원. 박인수♬
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