♧[1] 제6회 대전 孝 문화 뿌리축제 보문초교 사물놀이 공연(2014.09.27 토)♧세
대전광역시 중구청 주관으로
2014년 9월 26일부터 9월 28일까지 3일간에 걸쳐
대전광역시 중구 산성동에 자리하고 있는 뿌리공원 일원에서
"제6회 대전 효 문화 뿌리축제" 둘째 날 메인무대에서 대전보문초등학교 학생들로 구성된 농악팀의
사물놀이 공연을 촬영한 사진인데 나이 어린 학생들임에도 서로가 얼굴을
마주 보고 또 시선을 맞추며 고개를 끄덕이는 몸동작까지
이어지는 사물놀이 공연은 관중의 넋을
뺏앗기에 충분했습니다.

◐ 사 물 놀 이 공 연 은 ? ◑
풍물굿의 대표적 타악기인
꽹과리·장구·북·징의 4가지 악기로 연주하는 음악으로서
사물은 본래 불교의식에 쓰이는 목어(木魚)·운판(雲板)·법고(法鼓)·범종(梵鍾)의
4가지 의물을 가리키는 말이었는데, 사물놀이의 4가지 악기를 가리키는 말로 전용되었다.
농악·짝두름·설장구놀이·비나리·판굿·칠채굿 등의 풍물음악이었으나,
이 풍물음악에서 음악만 심화·발전되어
사물놀이가 되었다.
주로 앉아서 치는데
각 악기의 잡이들이 뛰어난 기량을 발휘한다.
같은 가락을 치면서도 꽹과리·장구·북·징이 서로 주고받으면서 엉키고 밀치고 당기는 멋이 있다.
주로 앉아서 치기 때문에 극장에서도 공연하기 쉬우며, 김덕수사물놀이패를
위시한 많은 사물놀이패가 외국 공연을 하는 등 한국 민속음악의
소개에 공헌하고 있다.

▽사물놀이 공연자들이 초등학교 학생인데도 표정이 여유롭습니다.

▽큰 소리를 내며 사물놀이 공연이 시작됨을 알립니다.

▽앉은 자세로 다소곳이 머리숙여 인사를 합니다.

▽드디어 서서히 사물놀이 공연이 시작됩니다.

007

008

009

▽점점 속도가 빨라지면서 농악소리도 크게들리네요.

▽모두가 하나같이 공연을 펼치고 있습니다.
012

▽북을 치는 학생 표정이 귀엽습니다 ㅎㅎㅎ

▽다른 학생들은 공연에 열중하고 있는데 북을 치는 학생만 웃는표정을 짓네요.

015

016

017

▽두 손을 머리위로 올리며 공연을 펼칩니다.

019

▽표정들을 보세요. 신명이 절로납니다.

021

022

023

024

025

▽징을 치는 두 여학생의 표정은 담담하네요.

027

▽이 네 학생은 신명이 철철 넘쳐나네요.

029

030

031

032

033

034

▽북과 꽹과리가 마주보며 공연을 펼치고 있네요.

036

037

038

039

▽정말 신명나게하는 사물놀이 공연입니다.

041

042

043

♧98-06.Baikal Lake(바이칼 호수)/Cusco♧
|